본문 바로가기
눈과 안경 이야기

눈꺼풀의 기능과 구조 염증의 종류

by 용감한 가족 2023. 2. 22.

눈꺼풀의 주된 기능은 외부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눈으로 들어가는 광선의 양을 차단하거나 제한하고 안구 표면 위로 눈물을 분포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눈꺼풀의 구조

눈꺼풀의 구조는 4층 구조이다.

피부층, 근육층, 눈꺼풀판, 결막

눈꺼풀 피부는 인체 피부 중 가장 얇고 피하조직이 느슨하다.

이 때문에 쉽게 부어오르지만 빠르게 정상으로 회복된다.
윗눈꺼풀은 눈썹으로 경계가 되고 아랫눈꺼풀은 뚜렷한 경계가 없다.

눈을 뜨면 생기는 위, 아래 눈꺼풀 사이의 공간을 검열이라 하고 검열의 내측을 내측눈구석, 외측을 외측눈구석이라고 한다.

검열을 이루는 위, 아래 눈꺼풀의 테두리를 눈꺼풀테라 한다.

눈꺼풀 근육에는 안윤근과 눈꺼풀올림근, 뮐러근이 있다.

안윤근은 얇은 수의근으로 내측 눈꺼풀인대에서 시작해서 외측눈꺼풀에 붙는다. 안윤근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주변에 있는 안와부는 눈을 질끈 감는데 작용하고, 중앙에 있는 눈꺼풀부는 무의식적으로 눈을 감을 때 사용한다.

뮐러근은 안와부 바로 밑에 있는 작은 근육이다.

눈꺼풀판은 단단한 결체조직으로 눈꺼풀의 형태를 유지한다.

눈꺼풀의 혈관은 외측 눈꺼풀동맥과 내측 눈꺼풀동맥에 의한 동맥궁으로부터 공급받는다.

감각신경은 안신경이다. 운동신경으로는 안윤근이 안면신경에 동안신경이 눈꺼풀올림근에, 교감신경이 뮐러근에 분포한다.

눈꺼풀의 구조
눈꺼풀의 구조

눈꺼풀 염증

1. 다래끼

  • 겉다래끼는 눈꺼풀과 짜이스샘, 몰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으로 눈꺼풀 가까이 있다.

원인은 주로 포도구균이다.

초기에는 발적, 소양감이 있다가 곧 종창이 되고 동통이 생긴다. 4~5일 지나면 통증이 감소하면서 농양이 되고 피부로 배농 된다. 인접한 속눈썹뿌리로 감염이 확대되어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자주 재발한다.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거나 피부 쪽으로 배농이 되어 낫게 된다. 더운 찜질을 하면 더 빨리 치유된다.

눈꺼풀테에 항생제 안연고를 바르면 주위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배농이 잘 안 되는 경우는 피부를 눈꺼풀테와 나란히 절개하여 배농 시킨다.

  • 속다래끼는 마이봄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이다. 겉다래끼보다 깊이 있다.

결막면으로 노란 농양점이 나타난다.

2. 콩다래끼

  • 마이봄샘의 무균성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다.

중심부는 샘분비물과 괴사조직이 섞인 지방물질이고 주위에 원형세포의 침윤과 거대세포들이 있다.

눈꺼풀테 피부 밑에 팥알 크기의 단단한 결절이 만져진다. 발적, 통증과 같은 염증 증상은 없다.

작은 결절은 자연흡수가 된다. 대부분은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내야 치유가 된다.

3. 마이봄샘염

  • 중년 이후에 드물게 나타나는 만성 염증이다.

원인은 확실하지 않고 양측성으로, 눈꺼풀염증이나 결막염을 동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백색의 비누거품 같은 무균성 분비물이 눈꺼풀테와 외측 눈구석 부위에 있고, 분비물의 자극으로 결막은 항상 충혈되어 있다. 자주 눈꺼풀판샘을 마사지하여 분비물을 제거해 준다. 눈꺼풀염증과 결막염을 치료한다.

4. 눈꺼풀테염

  • 눈꺼풀테 피부와 속눈썹뿌리의 만성염증이다.

대부분 양측성으로 결막염, 표층각막염, 눈꺼풀판샘염이 합병된다.

모든 연령층에 나타나는 흔한 질환이다.

눈 주위가 붉은 테를 두른 듯 눈꺼풀테가 충혈되고, 속눈썹에 비듬이 붙어 있다.

눈썹 탈락증, 속눈썹난생이 나타난다.

주원인은 포도구균 감염과 지루피부염이다. 가려움, 이물감, 결막충혈, 자극증상이 있다.

비듬눈꺼풀염과 지루눈꺼풀염은 눈꺼풀에 국한된 충혈이 나타난다. 눈꺼풀테 피부와 속눈썹에 비듬이 붙어 있다. 머리, 눈썹, 외이부에 지루피부염이 있는 경우가 많다.

5. 구석눈꺼풀염

  • 눈구석의 눈꺼풀 피부가 충혈 습윤된다.

눈꺼풀 피부가 짓무르고 가려우며, 특히 외측 눈구석이 심하다.

6. 눈꺼풀피부염

  • 각종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결막, 각막, 안구 내 조직으로 확산되기도 한다.

접촉피부염도 눈꺼풀 주위에 생길 수 있다. 각종 화장품, 약제, 안경테의 직접적인 접촉, 손에 묻은 것의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발생한다. 원인을 제거하고 스테로이드 제제, 항균제 등을 사용한다.

'눈과 안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안과 누진다초점렌즈  (0) 2023.02.27
눈물과 눈물 분비 이상  (0) 2023.02.27
사시의 정의와 검사 치료 방법  (0) 2023.02.19
결막염의 원인 증상과 치료  (0) 2023.02.18
수정체의 구조와 기능  (0) 2023.02.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