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눈과 안경 이야기

사물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난시

by 용감한 가족 2023. 2. 11.

난시

난시는 빛이 경선축에 따라 다르게 굴절하는 경우이다. 원시나 근시와는 달리 외계의 한 점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각막, 수정체를 통과한 뒤 어느 한 점에 상이 맺히지 않는다.

난시는(astimagmatism)는 a(=없다) + stima(=점)으로서 "초점이 없다"라는 뜻이다.

주로 각막의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수정체 때문에 생겨나는 난시도 있다.

난시안
난시안

난시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만 부모가 난시가 있다면, 그 자녀도 난시 증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유전적인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고 추측한다. 이 외에도 부안검이나 안검하수가 있거나 눈썹이 안구에 닿는 경우도 난시가 생길 수 있다. 안질환 또는 이에 대한 수술을 받은 후에도 난시가 생길 수 있다.

난시의 종류

1. 정난시(규칙 난시)

평행광선이 한 점으로 결상되지 않고 두 초선에 생기는 상태로 이는 대부분의 각막 상태가 올바른 구면을 이루지 못하는 각막의 타원이거나 한쪽이 찌그러진 각막난시지만, 수정체 모양의 이상으로 생긴 난시도 있다.

정난시에는 두 경선이 있어 가장 큰 굴절률을 가진 경도가 하나 있으면 이와 직각이 되는 다른 경도에서는 굴절률이 가장 적게 되는데 이 가장 적은 경도가 난시 축이 된다.

굴절률이 가장 강한 주경선의 위치에 따라 정난시가 구분된다.

1) 직난시: 수직 방향에 있는 경우

2) 도난시: 수평 방향에 있는 경우

3) 사난시: 수직과 수평사이에 있는 경우

또 굴절 이상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다.

1) 단성난시: 근시성 난시, 또는 원시성 난시만 있는 경우

2) 복성난시: 근시+근시성 난시, 또는 원시+원시성 난시를 겸한 경우

3) 복합성난시: 근시성 난시+ 원시성 난시가 혼합된 경우

2. 부정난시(불규칙 난시)

각막 반흥, 원추 각막, 백내장 초기, 원추 수정체 때에 발견된다.

원추 렌즈로도 교정이 불가능하며 조절 눈 피로를 호소한다.

불규칙난시는 콘택트렌즈로 잘 교정되는 경우가 있다.

난시의 일반적인 증상

1. 난시가 심할수록 두통이나 눈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적다. 시력이 나쁨을 호소한다. 오히려 난시를 교정한 후에 두통, 눈피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2. 사난시의 경우에는 머리 기울임이 발생할 수 있다.

3. 잘 보기 위하여 얼굴을 옆으로 돌리거나 눈을 찡그려본다. 근시는 멀리 볼 때만 찡그리지만 난시는 가까운 곳을 볼 때도 정확히 보려 하면 눈을 찡그린다. 혹은 책을 눈앞 가까이 대고 보려 한다.

4. 낮은 도수의 난시의 경우에는 시력은 좋으나 눈피로감을 많이 호소한다. 특히 미세한 일을 하는 경우에 그렇다. 오후가 되면 앞이마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5. 같은 도수일 경우 직난시가 도난 시에 비하여 시력은 좋으나 눈 피로감은 더 잘 호소한다.

6. 도난 시는 낮보다는 밤에 시력 저하를 더욱 호소한다.

7. 1D 이내 도난시는 원거리, 근거리를 모두 잘 본다. 즉 돋보기를 늦게 사용한다. 백내장 수술 후 -1D 정도의 도난 시를 만들어주면 돋보기가 따로 필요 없는 경우가 많다.

8. 당뇨, 요독증, 안와종양, 선립종 등에서 난시도수가 심하게 변하는 수가 있다. 난시가 급격히 변한 경우에는 전신질환이나 눈 주변의 조직 변화를 의심하여야 한다.

난시 안경 처방

근시용 안경을 쓰면 세상이 작아 보인다. 원시용 안경을 쓰면 세상이 커 보인다.

180˚ 축을 가진 근시성 난시용 렌즈를 쓰면 상하가 작아 보인다.

여태까지 보아왔던 세상과 달라져 보인다. 전체 크기의 변화가 아니라 한 축에만 변화가 있게 된다. 한 눈으로 볼 때는 그 변화가 그리 심하지 않으나 두 눈일 때는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 두 눈이 같은 도수와 같은 축이라면 어느 정도 상의 왜곡이 있다 해도 그런대로 괜찮을지 모르지만 축이 다르다면 한 눈은 상하가, 다른 한 눈은 좌우가 작아지거나 커 보여 이상한 형태로 느껴지게 된다. 이를 경선부등상시 라고 한다. 난시안경을 쓰지 않았을 때는 정상으로 보인다.

교정을 하지 않으면 왜곡되어 보이고 교정을 하면 정시가 되므로 어지럽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는 그 반대다.

교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인 형태로 인식되지만 교정을 하게 되면 왜곡이 일어난다는 뜻이다.

난시와 노안

젊었을 때는 안경 없이 잘 보이던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노안이 되어 돋보기를 맞추려 할 때 난시가 처음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젊을 때부터 난시가 있었으나 나이가 들면서 축과 도수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난시 예방법

눈의 피로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되도록이면 전자기 사용을 자제하고 자외선 노출을 막기 위해 선글라스와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습관적으로 눈을 비비는 습관이 있다면 눈에 자극을 가하고 각막 상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습관을 고치는 것이 좋다. 눈에 좋은 영양제, 식품 섭취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어두운 곳에서 오랫동안 작업하는 것과, 흔들리는 차 안에서 책 읽는 것도 피햐고, 오랫동안 근거리 작업하는 것, 도수에 맞지 않는 안경은 쓰지 않는 것이 난시 예방에 도움이 된다.

난시 치료

난시치료는 대표적인 것이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다. 난시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양쪽 눈의 난시 축이 다를 때, 난시 교정용 안경을 갑자기 착용할 때는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 안경과 비슷하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수도 있다.

라식, 라섹 등과 같은 시력교정수술로 치료한다.

난시 테스트를 해보세요

난시 테스트표

한쪽 눈을 가리고 그림을 보세요

선의 굵기가 일정하신가요? 일정하지 않고 특정 방향의 선이 진하다면 난시가 있는 눈입니다.

만약 모든 방향이 똑같이 보인다면 난시가 없는 눈입니다.

6시에서 12방향이 선이 진하게 보인다면 난시축이 그 방향으로 있는 것입니다.

축이 알고 싶으시면 진하게 보이는 숫자에 30을 곱하면 됩니다.

그 값이 난시값이 됩니다. 6시 방향이 진하게 보인다면 6x30=180 축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