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카메라 필름 역할 기능 망막 망막은 안구 후방 2/3의 맥락막 내면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이다. 망막은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빛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정보로 전환하여 뇌로 전달한다. 두께는 거상연에서는 0.1mm, 후극부에서는 0.23mm이고, 앞쪽에서는 거상연, 뒤쪽에서는 시신경유두와 단단히 붙어있다. 망막의 조직학적 구조 망막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10개의 층으로 구성되어있다. 1. 색소상피층 6 각형의 단층세포로 맥락막과 밀착되어 있다. 2. 시세포층 빛을 느끼는 부분으로 감각신경망막이라고도 하며 비교적 밝은 빛에 작동하는 추체와 어둠침침한 빛에 반응하는 간체의 두 가지 시세포를 가진다. 3. 외경계막 많은 구멍이 작은 구멍이 있는 그물 모양의 막으로서 시세포의 외절이 이 구멍을 통과한다. 4. 외과립.. 2023. 2. 15.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백내장 백내장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과숙성된 백내장은 눈동자를 하얗게 변하게 해서 육안으로도 관찰이 가능하다. 시력감소가 주 증상이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정도는 다양하다. 이에 따라 눈으로 들어온 빛이 수정체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백내장은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시력이 손상되는 것은 수정체가 불투명해져 투과한 빛이 눈 뒤쪽의 망막에 상을 맺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노인성 백내장의 경우 발병 초기에 수정체의 굴절력이 증가되어 근시가 나타나며, 증상이 더 진행될수록 파란색을 잘 보지 못한다. 백내장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황갈색 색소가 수정체에 축척되며, 이것이 수정체섬유의 붕괴와 함께 빛의 투과를 줄여 시각에 문제를 일으킨다. 백내장이 있는.. 2023. 2. 13.
안압 상승으로 인한 녹내장 녹내장 녹내장은 실명을 가져오는 중요 원인 중의 하나인 안구 질환이다.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시신경 손상을 초래한다.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의 원인으로는 높은 안압 이외에 다른 여러 요소들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됨에 따라 시신경의 특징적인 변화 또는 이에 따른 시야장애가 초래되는 진행성 시신경병증으로 정의되고 있다. 녹내장 진단 녹내장은 일찍 발견하여 치료할수록 시기능장애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다. 그래서 조기진단이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소견이 있을 때 녹내장을 의심해봐야 한다. 1. 안압이 21mmHg 이상 2. 안압이 상승되지 않았더라도 두 눈에서의 안압 차이가 5mmHg 이상일 때 3. 유두함몰의 크기 C/D (cup/disc ratio 유두함몰부위의 직경과 유두의 직경).. 2023. 2. 13.
가까운 글씨가 잘 안 보이는 노안 노안 45세 전 후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곳을 보고자 할 때 초점 맞추기가 힘들어한다. 가까운 곳을 보다가 먼 곳을 보고자 할 때도 시간이 걸린다. 수 초간 혹은 수 분간 초점이 풀리지 않는다. 이런 경우를 노안이라고 부른다. 45세에 자신이 늙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다. 처음에는 노안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한다. 노안은 언제부터 오는가? 언제부터 가까운 곳을 보려고 할 때 불편해지는가? 누구에게는 좀 더 일찍 오고 누구에게는 조금 늦게 온다.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 개인의 건강 상태나 수정체의 경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노안은 개인의 조절력뿐만 아니라 굴절이상, 직업, 체격, 습관 등에 영향을 받는다. 노안은 보통 40대 이후부터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은 3.. 2023. 2. 12.
사물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난시 난시 난시는 빛이 경선축에 따라 다르게 굴절하는 경우이다. 원시나 근시와는 달리 외계의 한 점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각막, 수정체를 통과한 뒤 어느 한 점에 상이 맺히지 않는다. 난시는(astimagmatism)는 a(=없다) + stima(=점)으로서 "초점이 없다"라는 뜻이다. 주로 각막의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수정체 때문에 생겨나는 난시도 있다. 난시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만 부모가 난시가 있다면, 그 자녀도 난시 증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유전적인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고 추측한다. 이 외에도 부안검이나 안검하수가 있거나 눈썹이 안구에 닿는 경우도 난시가 생길 수 있다. 안질환 또는 이에 대한 수술을 받은 후에도 난시가 생길 수 있다. 난시의 종류 1. 정난시(규칙 난시).. 2023. 2. 11.
원시의 종류와 노안 원시 원시는 먼 곳은 잘 보이고 가까운 곳은 잘 안 보이는 눈이다.라고 생각한다. 흔히 원시는 근시와 반대라고 생각한다. 근시가 오목렌즈 안경을 쓰는 것과 반대로, 원시가 볼록렌즈를 쓰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한 원시는 가까운 물체는 물론 멀리 있는 물체도 잘 보지 못한다. 반면 약한 원시는 눈에 힘을 주면 일시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원시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채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어렸을 때는 눈 속 근육의 유연성이 좋아 원시가 어느 정도 있더라도 그다지 불편하지 않다. 눈에 힘을 주면 정상 시력처럼 볼 수 있다. 원시는 외계로부터 눈으로 들어온 물체의 상이 망막에 맺히지 못하고 안구 뒤에 맺힌다. 굴절력이 부족하거나 안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생긴다. 원시의 종류 1. 굴절성 원시: 각막이나 수정체.. 2023. 2. 10.
근시와 근시 예방법 치료 방법들 근시란 무엇인가? 굴절에 이상이 생겨 망막보다 앞에 초점이 맺히면, 근시라고 한다. 근시는 먼 곳은 잘 안 보이고 가까운 곳은 잘 보인다. 먼 곳을 보기 위하여는 찡그리고 보거나 안경을 써야 한다. 근시는 그 자체로는 눈 피곤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눈 피곤증은 동반된 난시, 사시, 부등시 그리고 잘못된 안경 처방이 오히려 일으킨다. 근시는 날 때부터 존재하지는 않는다. 대부분 초등학교 때부터 근시가 나타난다. 눈을 찡그리고 보거나. TV를 가까이 보려 하고, 혹은 얼굴을 옆으로 돌려서 보려 한다. 근시는 진행한다. 신체 성장이 멈추는 18~20세 까지는 점점 도수가 증가한다. 그때가 되면 근시의 진행은 정지된다. 그러나 예외도 적지 않다. 3~4세부터 근시가 발견되는 경우도 있고 20세가 지나서도 근시가.. 2023. 2. 10.